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 4.7%로 둔화에 대한 분석과 향후 전망
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 4.7%로 둔화에 대한 분석과 향후 전망
중국의 2024년 2분기 GDP 성장률이 4.7%를 기록하며 전분기의 5.3%와 예상치 5.1%를 밑돌았습니다. 이는 수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소비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경제 성장 둔화의 주요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경제 성장 둔화의 원인
소비 둔화
2분기 소매판매 증가율은 2.7%로, 전분기의 4.7%에서 크게 감소했습니다. 특히 자동차 판매는 -2.7%로 감소하며 소비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요식업 매출은 4.9% 증가에 그쳤으며, 의류 소비 역시 2.0% 증가에 머물렀습니다.
산업 생산
2분기 산업생산 증가율은 5.9%로 전분기의 6.1%보다 소폭 감소했습니다. 산업로봇 생산은 17.5%, 자동차 생산은 6.2% 증가했으나 석탄 생산은 정체되었습니다. 제조업 PMI는 6월 49.5로 기준선을 하회했고, 서비스업 PMI는 50.5로 확장세가 완만했습니다.
투자 부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3.9%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부동산 투자 부진이 지속되었습니다. 제조업 투자 증가율은 9.5%, 인프라 투자 증가율은 6.4%로 각각 확대되었으나, 부동산 시장의 불안이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수출 증가
수출 증가율은 5.9%로 전분기의 1.5%에서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자동차와 일반기계 등의 판매 호조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지역별로는 ASEAN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반면, 일본과 EU로의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2. 중국 경제의 평가
수출 회복
예상보다 견조한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생산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서방의 대중 견제에도 불구하고 첨단제품 수요 확대와 신흥국 매출 증가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6월 무역흑자는 $991억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소비 회복세 둔화
서비스업 회복세는 견조하나 상품소비는 부진했습니다. 618 온라인 행사 매출이 전년 대비 약 7% 감소하면서 온라인 매출도 완만해지는 추세입니다. 가계대출 증가액이 전년의 절반에 불과하여 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3. 향후 전망
경기부양책 강화
중국 정부는 확장적 재정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별국채 발행과 첨단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해 경기 회복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금년 5월부터 연말까지 1조 위안의 초장기 특별국채를 분할 발행하고, 지방정부의 특별채 발행 규모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위해 65조 위안 규모의 반도체펀드를 추가로 조성했습니다.
부동산시장 부진 지속
대도시의 주택 거래량이 증가했으나, 주택가격 하락세가 3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심리지수는 정책 발표 후에도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주택구매 계약금 비율을 역대 최저 수준으로 인하했으나, 누적된 주택재고와 민간심리 위축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성장률 전망
경기부양 조치에 힘입어 연간 4% 후반대의 경제 성장이 기대되지만, 부동산 시장과 내수 회복 지연으로 인해 성장세가 완만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수출 회복과 내수 부진이라는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보이며, IB들은 중국의 성장률 전망을 4.9%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이 부진한 부동산 투자를 일부 대체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결론
중국의 2분기 경제 성장률 둔화는 소비와 투자 부진,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중국 정부는 확장적 재정정책과 첨단 인프라 투자를 통해 경제 회복을 도모하고 있으나, 성장 불균형이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향후 경기부양책의 효과와 부동산 시장의 회복 여부가 중국 경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2024.07.10 - [세계 경제 뉴스] - 중국 경기 침체 신호 지속: PPI 21개월째 마이너스 기록
중국 경기 침체 신호 지속: PPI 21개월째 마이너스 기록
중국 경기 침체 신호 지속: PPI 21개월째 마이너스 기록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21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수 추이를 보여주는 소비자물가지수(CPI)
luxely.tistory.com
2024.07.04 - [주식 상식] - 2024년 3분기 아시아 투자 전망
2024년 3분기 아시아 투자 전망
2024년 3분기 아시아 투자 전망2024년 3분기 아시아 투자 전망은 기업 지배구조 개혁과 각국의 경제 회복 조짐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중국, 일본, 한국 등 주요 아시아 국가
luxely.tistory.com
'세계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급락에도 비트코인, 금리 인하 기대감에 9000만원 회복 (0) | 2024.07.18 |
---|---|
AI 붐 덕분에 ASML과 대만의 경제가 활황을 맞이하다 (0) | 2024.07.17 |
미국 전 대통령 트럼프 저격 사건의 정치적 영향과 금융시장 반응 분석 (0) | 2024.07.17 |
TSMC, AI 열풍에 마진 개선 기대감…주가 상승 가능성도 (1) | 2024.07.12 |
미국 6월 소비자물가 결과 및 평가 (0) | 2024.07.12 |
댓글